火의 卷 火의 序 이도일류二刀一流의 병법 , 싸우는 것을 불火이라 생각하고 , 전투승부의 것을 『火의 卷』으로 해서 이 책에 쓰고 기록한다. 우선 , 세상 누구나가 , 병법의 의의를 작게 간주해 버리고 , 예를 들자면 손가락 끝으로 손목 다섯 마디 세 마디의 의의를 알고 , 예를 들면 부채를 쥐고서 팔꿈치 보다 앞의 선수후수先手後手의 승리를 생각 하고 , 혹은 죽도竹刀 등으로 약간의 빠름의 의의를 깨닫고 , 손을 잘 써서 익히고 , 발을 잘 살려서 익 히고 , 아주 작은 얻음이 빠른 상황을 지배하는 식이 된다. 나의 병법에 있어서는 , 여러 번의 승부에 한 목숨一命을 걸고 맞서고 , 생生과 사死의 두 가지의 경계 를 나누고 , 칼刀의 도道를 깨닫고 , 적을 치는 태도太刀의 강약을 알고 , 태도太刀의 칼날..
이것으로 검술을 중심으로 하는 한 권이 끝나지만 , 무사시는 여기에서도 반복해서 케이코의 중요성 을 강조하고 있다. 해본적은 없지만 , 하면 된다(될 것이다) 라고 말하는 것은 , 해 보지 않으면 모른다 라는 것이고 , 학생이나 초보자가 말하는 언어이다. 사회적 책임이 있는 인간은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해 보여주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 또한 해서 보여주고 안되어서는 안된다. 큰 의자에 앉아 있는것은 이웃집 강아지라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사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도 무사로서 있을 수 있었던 것 처럼 , 지금도 옛날도 , 과거의 경력 이나 업적만으로 지위를 지키고 있는 인간은 적지 않다. 그러나 그래서는 죽은 사람과 같은 것이다. 그러니 죽은 사람만이 자신이 죽어 버렸다는 것을 모르고 , 그 썩어가는 ..
水의 結 위와 같이 쓰고 남기는 것으로 , 당류의 검술을 대략 이 권에 기록해 둔 것이 된다. 병법兵法 , 태도太刀를 쥐고 사람에게 이기는 상황을 익히기 위해서는 , 우선은 다섯가지의 기본을 사 용해서 다섯 방향의 카마에를 배우고 , 태도太刀의 길道을 깨달아서 전신을 유연하게 하고 , 마음의 예 리함을 연마해서 사물의 박자를 안다. 그러면 , 저절로 태도太刀도 솜씨가 세련되고 , 몸도 다리도 생각 하는 대로 편안한 때와 같이 되어 , 한 사람에게 이기고 , 두 사람에게 이기고 , 병법의 좋고 나쁨을 아 는 정도가 된다. 그리고 , 이 한 권의 내용을 한 조 한 조 케이코 해서 , 적과 싸우고 , 차츰 차츰 도리道 理를 얻어서 , 끊임없이 마음에 명심한다. 서두르는 마음이 없고 , 때때로 , 손을 대어서는..
3. 「직통直通의 상태」 라고 하는 것 직통의 의미는 , 이천일류의 진정한 도道를 받아서 전하는 것을 말한다. 아주 잘 단련해서 이 병법 으로 몸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구전口傳 「直通직통」에 대해서는 , 상세하지 않다. 확실히 별서別書에서는 , 무사시는 `극의極意` 로서 직도直道 라는 것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直通」과 같은 것이고 , 어느 것이나 무사시의 극의極意인 태도太刀이다 고 하는 설이 있다. 그러나 , 그것은 , 곧 바른 도道로서 , 이 책에서 여러 번 반복해서 논 해지고 있고 , 또한 이미 이 책에서는 서지誓紙나 벌문罰文을 취할 정도의 극의 , 비전 등은 필요하지 않다고 무사시는 생각하고 있다. 「통通」 이란 , 「神通力」「事情通」 등으로 말하는 것 처럼 , 방해받지 않는 자유로..
2. 「一つの打ち하나의 치기」 라는 것 이 하나의 치기 라고 하는 것으로써 , 확실히 이기는 상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병법을 잘 배우지 않으면 얻을 리가 없다. 이 점을 잘 단련하면 , 병법은 마음 먹은대로 되고 , 생각 한 대로 이기는 길 道이 된다. 아주 잘 케이코 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사시는 다른 유파와 같이 복잡한 태도太刀기법 등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로지 한 길로의 타돌법을 응용하고 자재로 하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확실한 승리를 얻자고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 지금 까지의 여러설명도 , 치는 방법의 복수의 종류로서 가 아니라 , 단지 한 가지 방식의 타돌의 각 요소 의 설명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 여러 주의를 종합적으로 습득해야 만이 , 병법을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는 상황이 ..
제 6장 마무리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해 왔던 검술에서 상징되는 병법의 전반적인 문제가 논해진다. 간단한 기술이 지만 , 그 내용은 몸으로 직접 배우지 않으면 알 리가 없다. 1. 겨루기의 의의에 관해 겨루기의 이용利用이라는 것으로 , 병법兵法 , 태도太刀로 이기는 유리함을 다 수용한다는 것에 있다. 세세하게 쓰고 기록하지는 않지만 , 잘 케이코 해서 이기는 상황을 배우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크게 병법의 진정한 길道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 태도太刀이다. 「구전口傳」 실제의 겨루기 에서야 만이 , 최선의 연습이다 라고 무사시는 말한다. 카마에 라든가 , 칼날 이라든가 말해도 , 싸워서 이기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다. 연습이라고는 하나 , 싸운다고 하면 , 서로 공방도 여러 가지가 되고 , 이거다 라고 하는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