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 절 연격 (切り替えし키리카에시) 1 . 연격 키리카에시...(1) 연격이란 정면치기와 연속좌우 머리치기를 짜 맞춘 검도의 기본동작의 종합적인 케이코 법이다. 검도를 배우는 사람에게 있어서 , 초심자도 숙련자도 빼놓을수 없는 중요한 케이코 법 이다. 바른 연격은 , 검도의 「카마에(자세)」, 「치기(칼날 근筋 과 손안의 작용)」, 「발 놀림」,「간합을 취하는 법」,「호흡법」나아가 「강인한 체력」과 「왕성한 기력」등을 키우고 「기검체 일치의 타돌」의 습득을 그 목적으로 한다. 초심자 , 초급자의 단계에서는 , 천천히 크게 정확하게 ,쭉쭉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 숙련도에 맞추어 「몸 받음」을 넣는 등의 궁리에 의해 , 더 나은 효과를 기대 할수 있다. 또한 , 나쁜 버릇의 교정이나 예방을..
제 2 절 예법 (禮儀作法) 예는 대인관계와 사회의 질서를 원만히 유지하고 자기의 연마와 수양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 예법은 유희나 오락의 기분을 배제하고 , 성실히 보다 정중히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 근본적으로 무사武士는 투쟁자鬪爭者 였기 때문에 그의 일상에서는 , 언제 어떤 때 , 어디에 있어도 방심하지 않는 엄숙한 몸가짐과 행동이 요구되어 졌다. 검도의 예법에는 이러한 무사의 일상에 있어서의 행동양식의 사고방식이 받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검도의 예법에는 ` 입례立禮 ` 와 ` 좌례座禮 ` 가 있고 그 순서나 형식이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는 ` 입례 ` 와 ` 좌례 ` 에 관련된 ` 정좌正座 ` ` 앉는 법 ` ` 일어서는 법 ` 에 대해서 서술하겠다. 1 . 입례立禮 기립起立의 자세에서..
제 1 절 예禮에 대한 생각 일반적으로 예는 , 사회의질서를 유지하기위한 관습으로 , ` 정중히 응접한다 ` 고 하는 것과 , ` 인사를 한다 ` `머리를 숙인다 ` 등 , 형태가 잘 정돈된 태도나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 사람이 지켜야 할 절도있는 바른 행위를 말한다. 검도는 ` 예로 시작해서 예로 끝난다 ` 라고 말해지는 것 처럼 , 특히 예의 몸가짐을 중시하고 엄격하게 행해져 왔다. 검도는 상대를 치거나 찌르거나 해서 , 상대를 공격하는 대인적 격투기格鬪技 이므로 항상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고 , 서로의 신체를 단련하고 , 기술을 연마하고 , 마음을 키우기 위한 좋은 협력자로서 , 속에는 마음心으로 부터의 존경과 감사의 념念을 가지면서 , 밖으로 단정한 자세를 가지고 예의바르게 하는 것은 ,서로 보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