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는 태도太刀가 모든 병법의 근본이라는 것을 논하고 있다. 실제 태도는 인간의 여러가지 도 구 중에서도 , 무엇보다도 단순한 것들 중에 하나 일것이다. 무사시의 이후로는 , 무사의 시대로부터 , 발명력 , 공업력 , 자본력의 시대로 변하면서 , 나아가 조직력 , 정보력의 시대가 되었다고는 하나 ,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 그 도구를 어느정도 살려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승리하는 사람이 정해진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왜 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가 , 라고 한다면 , 그것이 실력을 몇 배로도 확대하기 때문이지 다른 이 유가 있는것이 아니다. 하물며 현대와 같이 도구가 조직이나 정보로써 거대하고 정밀하게 되면 될수록 그 실력확대효과는 , 칼과 비할바가 못된다. 단 주의해야 할 것은 , 도구가 거대하고 정..
제 3장 병법兵法의 특색 무사시가 명확하게 자각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겠지만 , 결국 , 무사시의 병법은 , 도구道具론 , 박자拍子 론 , 선제先制론 의 세 단계의 이론으로 구성되어진다. 다시말해 , 절대적으로 이기기 위해서는 , 우선은 도구로 이기지 않으면 안되고 , 도구로 이기기 위해서는 , 박자로 이기지 않으면 안되고 , 박자로 이기기 위해서는 , 선제에서 이기지 않으면 안된다. 즉 , 이기기에는 , 도구로 이기고 , 박자로 이기고 , 인간으 로 이긴다 , 이 세가지가 불가결의 조건이 있다. 『五輪書』에서는 , 그 각각의 대략을 『地의 卷』 『水의 卷』 『火의 卷』에서 논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1. 병법이라는 말의 의의를 알것 이 도道에 있어서 , 칼을 휘두르는 사람을 「兵法者」라고 세상..
*그는 여기에서는 자신의 유파를 「이도류二刀流」라고 부르고 있다. 합리주의자인 그의 성격으로 보 자면 이름따위는 어떻게 부르든 좋았을 것이다. 원래가 병법이 도리道理를 얻어서 절대적으로 이기는 도道라고 한다면 , 그것은 유일의 절대적인 도道이고 , 유파 등이 있을 리도 없다. 라고는 하나 , 그의 검술은 , 이도류를 쓰는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자화상도 확실히 이도류를 양 손에 쥐고 있다. 그러나 , 그의 검술의 핵심은 , 실은 , 한 손이라도 확실히 太刀(칼)을 다루는 쌍수일도 雙手一刀이다. 상세한 것은 『水의 卷』에서 논하겠지만 , 이것은 인간의 운동능력상 , 혁신적인 의미를 가진다. 아니 , 그에게 있어서는 , 양수이도兩手二刀야 말로 , 애써 이도二刀를 차는 무사의 본래의 모습 이다. 어느 쪽..
2. 이 유파를 「二刀流」라고 이름 붙인것 「二刀流」 라고 말을 꺼낸 이유는 , 무사武士는 장수와 병사 모두가 가까이에 이도二刀를 허리에 차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옛날에는 「太刀(たち 타치)」「刀」 라고 말하고 , 지금은 「刀」「脇差(わきざし 와 키자시)」 라고 한다. 무사된 자가 이 양도兩刀를 지니는 것은 , 세세하게 말할 것도없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 , 검술을 알아도 몰라도 , 허리에 이도二刀를 차는 것이 무사의 길道이다. 칼 두 자루의 의의를 가르치기 위해서 「二刀流」라고 하는 것이다. 창槍 , 나기나타(薙刀) 로부터는 「外의 물건」이라 해서 , 무기의 부류에는 속하나 , 당류의 도道는 , 초 심자에게 있어서는 , 칼과 협차(옆구리에 차는 작은칼)를 양손에 쥐고 도道를 행하고 배우는 것이 그 실..
*여기에서는 , 이 『오륜서』의 구성 , 따라서 , 그의 이천일류二天一流의 이론 구성이 설명된다. 「五輪」 이란 , 밀교密敎에서는 , 모름지기 만물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地 , 水 ,火 , 風 , 空의 「五大」의 것을 말 하고 , 그러한 것은 물질이면서 동시에 성질로서의 작용을 가지고 , 그 각각이 땅地은 굳게堅 지니는 작용 , 水물은 젖게濕 해서 몰아 잡는攝 작용 , 火불은 뜨겁게熱 해서 익히는熟 작용 , 風바람은 움직임 으로 그 으뜸의 작용 , 하늘空은 거리낌이 없는無碍 불장不障의 작용을 가진다. 또한 「法性に 輪円具足 する법성(본질을 깨닫는 것)은 둥근 바퀴와 같이 그 과함과 부족이 없이 충실하다」라고 해서 자연의 천 리오륜天理五輪을 가지고서 전신全身을 지키는 갑옷과 투구로 삼는다 라는 가르침도 있..
제 2장 이천일류二天一流 여기에서는 무사시의 병법인 이천일류의 이론의 구성과 특색이 분명해 진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 무사 시는 , 병법은 절대 이긴다 라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 거기에 여 러 유파의 것을 인정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것은 무사시의 이천일류의 설명이라기 보다는 , 무사 시 병법 그 자체에 대한 견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1. 이 병법서를 다섯 권으로 묶은 것은 다섯 가지의 도道를 나누어 , 한 권 한 권으로 해서 그 의의를 가르치기 위해 『地』『水』『風』『空』 으로 해서 , 다섯 권으로 쓰고 나타내기로 한다. 제 일 , 『地의 卷』에서는 , 병법의 도의 대략적인 내용 , 나 개인 유流의 견해 , 검술 하나만으로는 진정 한 도道를 얻을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