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합試合 갑양군감甲陽軍鑑( 武田氏타케다씨 16세기 후반의 무가武家 , 지금의 일본 동해도를 중심으로 번창한 카이노쿠니甲斐国의 전략 전술을 기록한 군학서軍學書 ) 에 「 진陣이 없을 때는 , 무사武士는 서로 거는 싸움을 하는데 , 참합斬合 ,혹은 '시아이' 라고 한다.」라고 있습니다. 또한 군산번郡山藩(코오리야마 번) 조목條目에는 「 他流興仕合 타류와의 시합 , 견무용지사堅無用之事 」라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시합試合 이 아니라 사합仕合 이라고 하는 문자를 사용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사仕는 , 받들어 모신다는 말로 , 사합仕合이라는 것은 , 신神 앞에서 생사生死를 걸고 행해진 것으로 , 이기는勝 것은 생生을 , 지는敗 것은 사死를 의미하는 것 이었습니다. 마츠라 키요시( 松浦清1760~1841 에도 중..
잔심残心 「 일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을때는 소심익익小心翼翼 , 일이 실로 될 때는 , 대담불적大膽不敵 , 일이 이미 된 때에는 , 유단불적油斷不敵 」이것은 , 캬츠카이슈勝海舟선생이 후진을 지도 할 때 자주 사용하던 말 입니다. 검도 만이 아니라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 높은 뜻을 세우고 면밀한 계획 아래서 , 전력을 다한 진중한 행동이 없다면 , 작은 일은 나름 ‘된다’ 라고 할지 모르나 ‘이룬다’ 고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공功을 이루었다 라고 하지만 , 최후의 점검 , 준비가 있고서야 비로소 완성이 보여지는 것 입니다. 나아가 「 末在 , 末在 」라는 반성이 되어져야 , 그 후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누구나 계획 , 진지한 행동까지는 잘 보여주지만 , 자칫 ..
한 칼의 조건 (一本の条件) 몸身도 마음心도 던져 잊어버리고 , 그저 이 한 칼에 전심전령全心全靈을 다해서 , 일 순一瞬의 간격에 치고들어가 , 심판원 일제의 승리 선고에 커다란 쾌감을 체험했던 여러 형제들도 많이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 이 한 칼에 눈물흘린 분들도 있겠지요. 검도시합의 원칙은 , 제12조에 「 유효타돌은 , 충실한 기세 , 적정한 자세를 가지고 , 죽도의 타돌부로 타돌부위를 칼날이 바르게 타돌하고 , 잔심이 있는 것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져 있습니다만 , 조금 더 유효타돌의 세가지의 조건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一) 충실한 기세 充実した気勢 ........ 대혜보각大慧普覺(1089~1163 중국 송宋나라 중기의 선승)선사 종문무고에는 「 여보시게들 , 세상에..
지심止心 일휴화상一休和尚 (1394~1481 一休宗純 무로마치 시대의 임제종 승려) 이 어느 날 장어집 앞을 지나가고 있을 때 「 아아 , 맛있을 것 같은 냄새가 아닌가 ! 」라고 무심결에 말했다. 서너 블럭을 지났을 때 쯤 , 뒤에서 부터 함께 따라오던 소승이 말을 걸며 얘기하기를 「 스님 , 스님은 조금 전 장어집 앞에서 , 맛있을것 같구나... 라고 말씀 하셨습니다만 , 출가出家를 했다는 사람이 , 그런 말씀을 하셔도 괜찮은 것인지요?」라고 일휴의 언동을 비난했다. 그러자 , 일휴는「 어리석은 녀석 ! , 너는 아직도 장어구이를 매달고 걸어왔었던 것이냐 ? , 나는 이미 장어구이 집 앞에서 버리고 왔거늘 ! 」라고 말한 일화가 있다고 합니다. 검도 만이 아니라 우리들은 , 자칫하면 외부外部의 여러 ..
쳐야할 기회 打つべき機会 손자孫子의 병법에는 「 그를 알고 나를 안다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그를 모르고 나를 안다면 한번은 이기고 , 또 한번은 진다. 그를 모르고 나도 모른다면 , 싸울때 마다 반드시 진다.」 무릇 기技를 행함에 있어서는 , 자신의 정신 , 기술 , 체력등을 알고 있다는 것은 물론이고 , 상대의 진용陣容 다시말해 카마에 법(유형 , 무형) 의 태세를 보고 , 적敵의 근본이 되는 심의心意를 세메해서 무너뜨리고 , 일어남을 제압하고 , 틈이 있는 상황을 한칼 한칼 마음으로 치고 들어가 뚫고 나아가는 것 입니다. 그저 상대의 수가 많은것도 , 그 일어남도 , 의도도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타돌을 시도해 보아도 , 고생만 많을 뿐 그 공功은 적을 것이다 , 수 많은 케이코를 쌓아도 ..
간합( 間合 '마아이') 저희들의 주변에서는 「간間」이 붙는 문자나 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시간時間 , 간격間隔 , 공간잡기 , 객간客間(객실) , 불간佛間(불상이나 위패를 모시는 방) , 혹은 상황이 안좋다 , 상황에 맞다 등등 , 검도의 술리術理에도 간합間合 , 마츠모리間積もり(상대와의 거리짐작) , 마사카이間境(상대와의 거리의 경계) , 마뵤시間拍子(상대와의 거리의 박자)등 「간間」혹은 「간합間合」의 가르침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간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검도에서 말하는 「간합」이란 , 공간적으로 말하자면 자신과 상대와의 거리를 말하고 , 시간적으로 말하면 , 마치 시계의 추가 좌우로 진동하는 그 중간과 같은 것으로 ,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간격을 말하는 것 입니다. 나아가 간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