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日本剣道の歴史 일본검도의 역사

일본 검도의 역사...(36)

 

검도의 금지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쇼와20년(1945) 8월15일 종전을 맞이 합니다. 쇼와26년(1951)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결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군의 점령하에 놓입니다. 이 사이 G H Q(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 는 여러가지 점령정책을 실시 합니다.

무도가 전쟁에 적지않게 가담해 왔다는 경위를 가지고 , GHQ 의 민간정보교육국(C I E) 의 지시아래 학교에 있어서의 무도교육의 금지 , 무도라는 말의 사용금지 , 대일본무덕회의 해산 등 , 엄격한 조치가 행해 지게 됩니다. 특히 검도에 관해서는 「검도는 전시중에 도검들을 병기로 해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훈련하는 것에 이용되었다는 사실이 있기 때문에 군사적인 색조를 일절 빠른 시일에 불식 시키려고 하는 지금 , 공사의 조직단체에 있어서 종래의 형태 , 내용에 따른 검도를 적극적으로 지도 , 장려하지 않을 것 , 검도가 장래에 여타의 순수한 스포츠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충분한 연구노력을 할 것」 이라는 내용의 엄격한 견해가 제시 되었습니다.

검도가에게 있어서 검도의 케이코를 드러내고 할 수 없는 상당히 괴로운 시대였다고 하겠습니다.

 

 

검도의 부활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육지책으로 생각해 낸 것이 「죽도 경기」 입니다.

스포츠적인 내용이라는 것을 전면에 내 보인 것으로 , 네개로 갈라진 죽도가 아니라 주머니 죽도를 이용해서 펜싱용의 방구와 같이 죽도경기용으로 고안된 방구를 사용하고 경계선에 따라서 구분된 시합장에서 득점방식으로 시합을 한다는 식의 것 이었습니다. 심판은 삼판제로 , 발 걸기나 몸 받음 , 자연히 생기는 발성 이외를 금지하고 , 반칙에 대해서는 벌칙을 만들었습니다. 복장도 케이코 복이나 하카마 일 필요는 없고 , 바지를 사용하면 괜찮다는 정도의 것이었으니 , 당시의 관계자들의 고민이 이해가 갑니다.

현재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죽도경기는 , 메이지유신에 이은 검도의 위기적인 상황에 있어서 , 그 명맥을 이은 것이라고 말 하겠습니다. 쇼와25년(1950)에는 전일본 죽도경기연맹이 결성되었습니다.

그러난 관계자의 종래의 검도에 대한 생각은 강했고 , 각계의 다양한 사람들의 노력의 결과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표에 따른 연합군점령의 종료도 있어서 , 쇼와27년(1952) 10월14일 전일본 검도연맹이 결성되게 됩니다. 초대회장에는 `키무라 토쿠타로木村篤太郎` 가 취임 했습니다.

그 후 쇼와29년(1954) 에 전일본시나이 경기연맹과 전일본 검도연맹이 통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