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도 심사위원의 눈.....후루타 유타카

기위 氣位 풍격 風格이 스며 나오고 있는가

자주 ( 기氣로서 압박하고 이理로서 친다 ) 라고 합니다만 고단자가 되면 이 理의 압박의 내용적 충실성이라는 것이 물어집니다. 이 내용적 충실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소의 케이코의 중미를 어떻게 진하게 하는 가가 포인트가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자기자신으로 부터 구하고 최선을 다하는 케이코를 하지 않으면 안되고 타격을 맞아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맞는 것에 의해 ( 기 機 ) 라는 것을 체득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 치고 반성 , 맞고서 감사 ) 실로 말 그대로라고 생각 합니다.

이 내용적 충실도가 높아감에 따라 자연히 기위 氣位, 풍격 風格 이라는 것이 배여 나오게 됩니다. 그러니까 고단자 선생님들은 자세를 잡은것 만으로 상대방을 압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상허하실 上虛下實 ) 이라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상반신의 힘을 빼고 하반신을 충실히 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나중에 설명할 평상심 平常心 의 모습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만 하반신이 충실해 지면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되고 단전에 기가 모여져서 상대의 움직임에 대응 할수 있게 됩니다. 저는 저의 집 거실에 오가와 선생님의 휘호 하신 ( 평상심시도 平常心是道 : 평상심이 곧 도이다 ) 라는 색지를 장식해 두고 있습니다. 선생님과 직접 만나뵌적은 없지만 돌고 돌아서 저의 손에 닿은 것이라 이 말씀에 대해 여러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오가와 선생님은 선 禪 에 대해서도 조예가 깊으셔서 선생님 자신이 실천 하고 계셨습니다. 그 선생님이 어떠한 심경으로 휘호하셨는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만 ( 平常心 )이란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 생각치 못한 일을 만나더라도 마음의 동요가 없이 그 자리 에서 정확한 판단과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예를 들면 자세를 바르게 하겠다고 결심한 경우 ,단지 죽도를 쥔 자세만을 좋게한다는 노력만 이 아니라 죽도를 쥐지 않는 일상때 에도 항상 염두에 두고 하나 하나 의 동작을 단정하게 하도록 주의 하지 않으면 정말로 몸에 붙었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이러한 일상의 마음가짐이 습관이 되었을때 평상심은 길러지고 동시에 기품이 갖추어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6단 이상이 되면 심기 心氣의 부분이 요구 되어 집니다. 심기가 충실해 있지 않으면 상대방의 마음을 울리는 한칼은 몸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고단자가 되어감에 따라 ( 氣劍體 一致 ) 의 검도에서 ( 心氣力一致 ) 의 검도가 요구되어지기 때문 입니다.

꽃도 보이는 겉모양 뿐만 아니라 향기가 있다면 한층 아름답게 되듯이 평소부터 바른수련을 쌓아아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