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안초심자 단계에서는 우선 죽도를 크게 휘올려서 휘내릴 때 발을 내어서 면을 치도록 하고 있습니다. 손목, 팔꿈치, 어깨를 전부 사용해서 크게 올려서 내려치는 것입니다. 휘 올릴 때는 엉덩이까지 칼끝을 붙이는 것과 같은 기분으로, 라고 합니다만, 실제 엉덩이에 칼끝을 붙여도, 붙이지 않아도 상관없겠지요. 그것보다는 왼손을 머리 위까지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왼손이 천정을 찌르는 듯한 기분으로 휘올리면 왼쪽 팔꿈치가 필로 이상 구부려지지 않습니다. 휘내릴 때에는 자신의 머리 높이에 칼끝이 오도록 합니다. 머리 높이보다 높은 곳에서 멈추는 사람은 손목을 돌리도록 유의합시다. 그리고 쥐는 방법에 좀 더 주의합니다. 들어올렸을 때 손 안에 칼자루가 미끄러져 내리는 아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들어올리고 내..
처음에 「앞→뒤」를 한 발씩 죽도를 쥐고 합니다. 이것이 가능하며 몇 발작 전진, 몇 발작 후퇴를 합니다. 칼끝은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초심자 단계에서는 형태를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후 좌우를 움직여도 처음 자세의 상태가 되어 있도록 주의합니다. 자주 있는 경우가 오른쪽으로 이동했을 때 왼발이 오른발의 바로 뒤에 가 있는 것과 후퇴 했을 때 왼발 뒤꿈치가 바닥에 닿아 있는 것입니다. 실전에 있어서는 칠 때에는 발을 깊이 내디디고 친 다음에는 바닥에 스치듯 발을 움직이게 됩니다. 그러므로 끄는 발(바닥에 스치듯 사뿐사뿐)이 필요합니다. 천천히 라도 괜찮으니까 끄는 발을 사용하도록 저는 지도합니다. 느리더라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면 발을 끌어당기는 속도를 빠르게 의식하면서 해봅..
준비자세(構え)1.자세를 만드는 법 우선 왼손에 죽도를 쥐고「차렷」자세를 취합니다.(사진 ①)다음에 왼손으로 칼자루, 머리 부분, 칼자루 끝부분을 쥐고 그 왼손을 배꼽 앞쪽에 둡니다. 이때 몸과 칼자루와는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사이를 둡니다.(사진②)다음 가볍게 반보 오른발을 앞으로 냅니다.대략 왼손의 손가락 끝부분과 오른발의 제일 뒤쪽 라인이 같게 되는 정도입니다.그다음 오른손을 손잡이 중앙 부분을 따라 놓습니다.(사진 ③,④) 오른손은 왼손보다 앞쪽, 오른발도 왼발보다 전방에 있습니다.결국(다시 말해) 우반신( 右半身)의 태세입니다. 반신(半身) 태세가 되어 있는 이상 왼발 끝이 다소 밖을 향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자연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바깥쪽을 향해 있으면 멀리..
마야자키 마사히로의 검도 - 전 일본 선수권을 6번 재패한 "노력의 천재"의 모든것.목차 제1장·기술 해설(헤세이 14년 4월호~헤세이 15년 1월호 게재) ●기본편=자세, 발판, 흔들림, 밟아 다리, 연속 발판, 면타기, 잘라내기, 맨손으로 치는 것, 몸통 치기, 소수면, 몸매, 끈기, 나가는 면, 밖으로 나가는 맨손, 빼기 몸통 , 반환 몸통, 정리 운동 후에 ●실전편=면 치기, 맨손 치기, 여러 손 찌르기, 한손 찌르기, 작은 면, 나가는 면, 나가지 않는 난쟁이, 지불 난쟁이, 난간 손잡이 상승 면, 작게 돌려주는 手手, 면 돌려 받는 手手, 싸움, 상단 대책제2장·인터뷰집 스스로가 되돌아 보는 연패에의 궤적(2004년 2월호 게재) 미야자키 마사히로・죠카츠의 이유(2017년 2월호 게재) 미야자..
『고양이의 묘술』 에도시대부터 이런 식의 나이가 들어도 한층 강해지는 검劍에 대해서 , 그 이유를 찾으려고 하는 경향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다룬 유명한 서적으로 『고양이의 묘술』 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이것은 향보享保12년(1727)에 `잇사이 쵸우쟌` 이라는 인물이 저술한 것으로 , 일도류一刀流의 전서라고도 하고 , `야마오카 텟슈`가 애독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만 , 원래는 『시골의 장자』라는 전10권의 서적 속에 수록된 것으로 , 도가道家의 노장老莊사상의 계몽서 입니다. 상당히 난해한 내용입니다만 재미있기 때문에 , 차근차근 순서에 따라 보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승헌勝軒이라는 검술가의 집에 큰 쥐가 있어서 백주대낮에도 방안을 돌아다니는데 , 키우는 고양이에게 이것을 잡게 하..
7 . 생애 검도 생애에 걸친 수행 다음의 문장은 쇼와昭和의 검성劍聖이라 불리는 `모찌다 모리지持田盛二` 범사의 말 입니다. 「나는 검도의 기초를 몸으로 익히는데 50년이 걸렸다. 나의 검도는 50을 넘기면서 진정한 수행에 들어갔다. 마음으로 검도를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60이 되면서 발과 허리가 약해진다. 이 약함을 보완하는 것이 마음이다. 마음을 움직여서 약점을 강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70이 되면서 신체전체가 약해진다. 이번에는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수행을 했다. 마음이 움직이지 않게되면 상대의 마음이 이 쪽의 거울에 비치게 된다. 마음을 고요히 움직여지지 않도록 노력했다. 80이 되어서 마음은 움직이지 않게 되었다. 그렇지만 때때로 잡념이 들어온다. 마음의 안에 잡념이 들어오지 않도록 수행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