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도소사劍道小史 ........검도의 흐름

 

3.  ` 一本 `의 의미하는 바

 

에도시대(1603~1868)중기가 되면 , 形케이코를 보완하기 위해 직심영류直心影流의 나가누마시로자에몬長沼四郞左衛門 과 일도류의 나카시니 츄조우中西忠藏 등에 의해 , 머리 , 손목 , 허리 ,몸통 등의 방구防具( 劍道具 ) 와 죽도의 고안및 개량에 의해 ` 죽도 치고 나가기 케이코법 ` 이 연구 되어졌다. 그것이 , 긴박한 ` 勝負의 場 ` 을 재현하기 위한 시합試合케이코를 가능케 했고 , 많은 유파에게 받아 들여지게 되었다. 形케이코 에서의 ` 一刀 ` 의 음미는 , 보호구와 죽도를 사용해서 겨루는 시합에 의해 행해지게 되었다. 여기에 ` 一刀 ` 에 새겨넣어진 의미를 이어 받아 ` 一本 ` 이 탄생한 것이다. 유파의 벽을 넘어서 , 타류他流와의 시합이 가능하게 된것에 의해 形중심의 검술에서는 생각하지 못했던 타류와의 교류의 장場이 만들어지는 등 , 격검擊劍으로서의 새로운 전개를 보이며 현대검도의 발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여기서 특별히 주목할 것은 , ` 에도시대에 있어서의 격검擊劍의 전국적인 전개 ` 전일본검도연맹 편찬의 劍道의歷史에도 있는것과 같이 , 무사만이 아니라 격검의 주도층은 향촌에 있는 향사鄕士나 유력농민층에 있었고 , 그것이 지금에 이르기 까지 검도보급의 토대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에도시대 말기가 되면서 외국배들의 내항이 잦았던 탓에 , 위기의식을 가졌던 각 번各藩은 군사력의 강화와 사풍士風의 쇄신을 꽤 했다. 각 번교藩校에 있어서는 , 검술을 지도하는 역할로 무사계급이외의 출신인 검사劍士가 등용되거나 , 다른 유파와의 시합도 해금解禁이 된 상태여서 각 유파간의 교류가 진척되면서 ,막부 말의 검술은 활기를 띠고 , 그것에 의해 한층 더 시합검술을 중심으로 하는 많은 유파가 탄생했다.

세간에서 말해지던 ` 기술技의 치바千葉 , 힘力의 사이토齊藤 , 위상位의 모모노이桃井 ` 라고 평가되어진 북진일도류 北辰一刀流 현무관玄武館 ,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연병관練兵館 , 경신명지류鏡新明智流 사학관士學館은 `에도 江戶 3大 道場 ` 등으로 불려지면서 , 거리의 도장은 그 융성이 극에 달했다. 특히 현대검도의 선조라고도 말할수 있는 치바슈우사쿠千葉周作 (1794~1855 )는 타돌부위를 정하고 , 판정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 心氣力 일치 ` 의 타돌 , 다시말해 ` 一本 ` 을 목적으로 하는 ` 劍術六十八手 ` 라고 하는 기법의 체계화를 도모하고 보급시켰다.

안세이安政3년 (1856) , 막부의 강무소講武所에서의 검술은 시합검술 만으로 하고 , 그 선두에 섰던 오다니세이이치로男谷精一郞는 시합검술에 있어서 죽도의 길이를 ` 三尺八寸 `(일척 :30.3cm 일촌:3.03cm) 으로 정했다. 시합검술이 무사계급에 크게 침투하기 시작했던 이 시대에는 #조태도組太刀가 기본 (理) 으로 , 그 응용이 시합과 케이코 (事) 로 인식되어져 , ` 事理一致 ` 의 정신과 강인한 신체의 형성이 요구 되어졌다.

메이지明治(1868~1912) 시대에 이르러 , 검술은 한 때 쇠퇴했지만 , 사카키바라 켄키치榊原鍵吉에 의한 격검흥행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어 , 메이지 10년 (1878) 의 ` 西南의 役 , 西南戰爭 `을 기회로 , 경시청警視庁을 중심으로 부활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메이지 28년 (1895)에는 , 대일본무덕회가 설립 되어지고 ,나아가 메이지 44년 (1911)에는 격검擊劍이 학교교육의 정식 과목으로 더해지는 활황을 맞게 되기에 이르렀다. 다이쇼大正 원년 (1912)에는 ` 대일본제국검도형 `(일본검도형) 이 제정 되어져 , 다이쇼 4년 (1915) , 타카노사사부로高野佐三郞 가 ` 劍道 ` 를 저술하고 , 치바슈우사쿠千葉周作의 ` 劍術六十八手 ` 를 ` 一本 `의 사상과 함께 ` 手法五十手 ` 로서 이어받아 오늘날의 검도지도의 기초를 쌓았다.

 

# 組太刀 쿠미다치 : 일반적으로 形과 동의어로 사용되어 지지만 , 물론 形이기는 하지만 그 성립에 있어서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 形은 검도의 理合이라는 실천의 경험을 근간으로 하여 만들어진 각 류파 독특의 것으로 , 쿠미다치는 타류기술의 장점에 대해 그것에 이기는 기술을 궁리하고 짜넣은 것이다.

예를 들면 류강류는 허벅지를 자르니까 여기에 대해서는 이 기술로 응한다 라든가 , 시현류는 어깨로부터 반대쪽 몸통으로 자르니까 이렇게 응수 한다 라든가 ....